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1076

[수정]광복 70주년 기념 공군음악회(일자 변경) 김영삼 전 대통령 서거에 대한 국가장 행사에 따라 부득이하게 일주일 연기되었습니다. 2015년 12월 3일 목요일 오후 7시 30분 2015년 11월 26일 목요일 오후 7시 30분서울 KBS 여의도홀 광복 70주년 기념으로 진행되는 이번 음악회에는 공군 군악대를 비롯하여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참여할 예정이랍니다. 바젤 타투 2015 오프닝곡을 시작으로 군악대와 샌드아티스트 지수의 합동 공연, 마술쇼, 퓨전국악, 초청가수들의 공연을 비롯하여광복 70주년을 기념하는 1945년부터 현재까지의 유명곡 메들리까지 의미와 재미를 두루 갖춘 멋진 공연이 준비되어 있으니, 많은 시민들의 관람바랍니다. * 관람을 원하는 분들은 19:00까지 여의도 KBS홀로 오셔서 입장 바랍니다. 2015. 11. 23.
[군대/웹툰] 공군공작소 1화.B.A.T 모빌 2015. 11. 20.
[군대/요리] 군포크 #5. 따뜻한 B.X. 브런치 2015. 11. 18.
[오픈마이크] 3화. EDM, 음악으로 소통하는 두 남자. 정기원 중사·조성찬 예비역 병장 공군에 EDM DJing 동아리가 있다?정말 상상할 수도 없는 엄청난 취미를 가진 공군 장병들을 만나기 위해 제20전투비행단으로 향했다. 3화의 주인공은 바로 20전투비행단 정기원 중사와 602수송대대 조성찬 병장(예비역). 첫 만남부터 두 남자의 미소가 예사롭지 않다. 세상 다 가진듯 밝게 웃는 모습이 매력적이다. 정기원 중사는 조금은 무섭게 생겼지만 긍정적인 에너지가 말투 하나하나에 묻어나는 사람이었고, 조성찬 병장은 말끔한 생김새와 다르게 엄청난 반전 매력을 지닌 사람이었다.밝은 미소가 매력적인 이 두 남자의 매력적인 EDM 사랑이야기를 지금부터 시작해보자. 군에 EDM 동아리가 있다는 사실에 참 놀랐다. 어떤 활동을 하고 있으며, 만들게 된 계기는?정 : 우연히 부대에서 DJing 공연을 할 기회.. 2015. 11. 16.
[군대/웹툰] 공군공작소. 프롤로그 2015. 11. 13.
[도와줘요 스피드공군] 12화 한국형 전투기를 개발하면 일자리도 늘어나나요? 2015. 11. 11.
[도와줘요 스피드공군] 11화 경제적 파급효과가 얼마나 되나요? 2015. 11. 11.
[도와줘요 스피드공군] 10화 공동개발국인 인도네이사의 참여에는 문제가 없나요? 2015. 11. 10.
[도와줘요 스피드공군] 9화 KF-X 개발소요비용은 모두 우리나라가 부담하나요? 2015. 11. 10.
[도와줘요 스피드공군] 8화 핵심기술에 대해 미국으로부터 기술이전을 거절당했다는데 개발이 가능할까요? 2015. 11. 9.
[도와줘요 스피드공군] 7화 F-35를 구입하면서 기술이전을 받지 못한 거 아닌가요? 2015. 11. 9.
[季刊 金少尉] #1. 감성충만 가을호 '고라니' 2015. 11. 9.
[도와줘요 스피드공군] 6화 한국형 전투기에 장착할 AESA 레이더 제작이 어렵다는데 개발이 가능한가요? KF-X 사업과 별개로 국방과학연구서에는 2006년부터 AESA 레이더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2006년부터 2013년까지 AESA 레이더의 송수신기(안테나) 개발 및 공대공 모드 지상시험을 마쳤고, 2021년까지 공대공 및 공대지 모드 개발 완료를 목표로 진행 중이며, 체계통합도 국내개발을 우선으로 추진하되 필요시 해외기술지원으로 완료할 예정입니다. 2015. 11. 6.
[도와줘요 스피드공군] 5화 우리나라가 전투기를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은 있나요? 5. 우리나라가 전투기를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은 있나요? 국방과학연구소의 탐색개발 결과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의 기술력은 한국형 전투기 개발에 필요한 90%의 기술을 확보하였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부족한 기술은 국내 개발을 우선 추진하되 필요시 해외기술협력을 통해 개발할 수 있습니다. 이미 우리는 F-5, KF-16에 대한 조립생산과 국산 초음속 항공기 T-50, 수리온 헬기 개발을 통해 축적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요. 1992년 처음 T-50을 개발하기 위한 탐색개발에 돌입했을 때, 아무런 리스크 없이 쉽게 개발될 것으로 예상한 사람은 없었습니다. 그러나 1997년 본격적인 체계개발에 들어가 6년 만에 처녀비행에 성공했고 지금은 해외에 수출까지 하고 있습니다. 2015. 11. 6.
[도와줘요스피드공군] 4화 외국 전투기를 구매하는 게 더 경제적이지 않나요? 4. 외국 전투기를 구매하는 것이 더 경제적이지 않나요? 물론 획득비용만 따지면 직구매가 더 경제적일 순 있지만 후에 유지관리비용까지 고려한다면 국내개발이 더 유리합니다.지금 KF-X 사업을 포기하고 KF-16+급 전투기를 직구매할 경우 도입가격은 대당 1000억원 이상으로 예상되고, 총 획득비용이 12조 이상이 추산됩니다. 여기에 전투기를 운영하는 30~40년동안 쓰이는 유지관리비용을 추산해보면 후속 군수지원비용이 천문학적인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예비용 수리부속 재고 확보를 위해서 드는 비용도 고려한다면 비용은 더욱 상승하겠죠? 국산 플랫폼을 개발한다면 자체 기술지원이 가능해 해외로 지불하는 기술지원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2015. 11. 5.